중국어 번역"대부" 이덕옥씨

 

 

0년간 "무협세계" 설렵 "거친 작품 셀수도 없어요"

   
포청천 패왕별희등 명화 대부분 전담 음향효과까지 맡아.

무협세계에서 30년 이상 살아온 중국어 외화 번역의 대부 이덕옥씨(48)[판관 포청천][칠협오의]와 같은 방송물은 몰론 영화 [홍등][패왕별희]등 명화는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


70년대에는 [근검지][비도탈명] 같은 무협지 베스트셀러를 1,000권 넘게 번역했고 80년대에는 [의천도룡기] 를 비롯한 1,000여편의 비디오물을 출시해 무협시리즈 선풍을 일으켰다.

지금까지 그가 만들어 낸 중국어 작품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
[송나라의 명판관 포청천은 겉으론 차갑지만 속 마음은 따뜻합니다. 부정 부패에 맞서 준엄한 심판을 내리는 인물이므로 대사를 점잖게 풀었죠]. 그의 특기는 세태를 풍자하는 문장을 시의 적절하게 조미료로 넣는 것. 성수대교 붕괴, 삼풍 사고가 터졌을 때는 [우째 이런 일이]라는 대사를 만들어 역사 속의 포청천이 부도덕한 사회를 꼬집도록 했다.

[무협영화에는 고사성어가 많이 나옵니다. 속뜻을 더빙시간 이나 자막에 맞춰 우리말로 함축해 전달하는 것이 제일 고달픈 일이지요]
특히 중국어 외화는 영어와 달리 대본에 지문이 없다. 영상을 일일이 확인하며 [콧웃음친다[째려본다]등을 만들어 넣는다. 무협물은 또 공중을 날아다니는 액션이 많아 [쉭쉭~][호이]하는 음향효과까지 짜내야 한다. 번역가가 아니라 드라마를 새로 쓰는 작가인 셈이다.

[시리즈물은 후속편이 궁금해지기 마련이죠. 결과가 궁금할 때는 어쩔 수 없이 맨 끝을 먼저 번역합니다. 전편을 속시원히 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 될까요. 무협의 세계에서 살다보니 그 역시 [신의]를 우선하는 사람이 됐다고 말한다.

!

 

 

 

 

 

        무협지, 그때 그 사람!

   
최근 안방극장에 때아닌 중국무협바람이 불고 있다. 대만의 같은 방송사에서 사들여온 한국방송공사 2텔레비전의 <판관 포청천>과 서울방송의 <칠협오의>가 안방극장에서 시청률을 놓고 한판승부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 두 드라마의 경쟁이 반가우면서도 서로 다투는 자식들을 지켜보아야 하는 '어머니의 마음'처럼 불안하기만 한 사람이 있다. 바로 두 드라마의 번역가인 이덕옥(47)씨. 그는 60년대 후반<금검지><비도탈명>과 같은 무협소설을 국내에 최초로 소개한 이래 70년대 무협만화, 80년대 창작 무협지를 거쳐<의천도룡기><삼국지>등 무협 비디오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품을 우리말로 재탄생시켜온 무협물의 대가다.

"아니 이배신자, 내 장풍을 받아라" 어린시절 공부하라는 부모님 시선을 피해 어둠침침한 동네 만화방에서 해지는 줄 모르고 빠져들었던 무림의 세계. 그런 추억을 지닌'무협지세데'에게 잊을 수 없는 이 대사를 지어낸 주인공이기도 하다.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정직하고 쉬운 이야기가 복잡한 세태에 향수 같은 위안을 주는 것 같아요". 그가 본 무협극의 인기 이유다.

그는 번역을 잘 하는 비결이 많은 지식 보다는 두 나라 말의 길고 짧은 어감의 차이를 제대로 찾아내서 성우의 입에 맞추는'기술'이라고 귀뜀한다. 1사간 분량의 드라마를 감칠 맛 나는 한국말 대사로 바꾸기 위해 그는 하루 10시간 이상을 꼬박 텔레비전 모니터 앞에서 보내야 한다. 그나마
그처럼 빠른 속도로 작업을 해낼 수 있는 중국어 번역가는 이씨 한 사람빡에 없다. 최근 문화방송에서도 볼만한 중국 무협극을 물색하고 있다는 소문이고 보면 그는 앞으로도 무협지만큼 무궁무진한 시간을 책상 앞에서 보내야 할 것 같다.

김경애 기자/한겨레신문 여론매체부

                   포청천도 칠협오의도 내가 없으면 벙어리"

 

 

 

 전문번역가  이 덕 옥씨
   
인기드라마[판관포청천]과 여기에 도전한 [칠협오의]. 요즘 방송가에 [무협바람]을 일으키며 인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두 드라마의 번역자가 한 사람이어서 관심을 끌고있다. 주인공은  이덕옥씨(46.). 국내에 몇명 되지않는 무협지 전문 번역가다.

(일주일에 [판관포청천]과 [칠협오의] 번역에 각각 사흘씩 매달려 있습니다. 중국어를 하지만 한국말로 옮기는데는 어려운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판관포청천]은 대사가 많은 편인데다 포공이 의미가 함축된 중국의 4자숙어와 금언을 많이 사용해 특히 번역이 어렵습니다. 중국어로는 몇마디 말이 한국어로는 몇배나 되는데 연기와 동작, 입놀림에 맞추려니 힘든 것이지요)
그래서 드라마 한시간반 분량을 번역하는데 사흘씩이나 걸린다고 설명했다.

이씨의 무협지 번역은 아주 우연한 기회에 시작됐다. (60년대 후반 대만에서 인기가 치솟던 김용(대만의 대표적인 무협소설작가)의 [금검지]가 국내에 들어와 아르바이트 삼아 시작했는데 평생 직업이 됐네요)

(70년대는 요즘 비디오를 빌려 보듯이 만화가게에서 무협지를 빌려 보던 시절이었지요. 한꺼 번에 나오는게 아니라 2,3일 간격으로 다음편이 나오고 또 애타게 기다리기 때문에 일단 어떤 작품의 번역을 시작하면 밤샘이 다반사였습니다)
80년대 들어서 창작무협소설이 많이 나오면서 중국 무협소설은 자취를 감췄으나 새로 무협비디오시대가 시작돼 이씨는 쉴틈이 없었다.

(무협비디오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의천도룡기]가 첫 번역작품입니다. 지금까지 무협비디오시리즈 전문제작사인 서진통상과 시네콤에서 나온 무협비디오는 거의 다 제 번역작품입니다)


.현재 이씨는 (세방영상) 이라는 번역사무실을 차리고 막내동생 이덕광씨(38)와 함께 일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소식지 2000년 6월호 통권 115호
     직업의 세계 영상 번역작가


 
*** 경향신문 1996년 9월 24일
     중국어 번역"대부" 이덕옥씨
 


*** 매일경제 신문사 citylife 1996.2.10~2.18 제171호
     세방번역 중국어 전문 영상번역가 이덕옥


 


*** KBS 2TV 생방송 아침을 달린다 목요 초대석 1995년 6월 8일
   "판관 포청천"의 숨은 이야기꾼 중국어 번역가 이덕옥씨




 
 
*** 동아일보 1995년 4월 28일kh
    "포청천도 칠협오의도 내가 없으면 벙어리"
 
 
*** 한겨레21 창간 한돌 기념 특대호 1995.3.23 제51호
    무협지, 그때 그 사람!




*** 서초구청장의 봉사상   2010년 12월 28일







   
 
   
   
   

   


 
 
 
 
 
 
 
 

 

+ Recent posts